프로젝트 진행시 각 팀원마다 branch를 생성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별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.
(브랜치 생성은 팀원 중 한명이 전부의 브랜치를 모두 만든다)
organization 리포지터리를 우클릭하여 switch to 에서 branch를 생성한다.
브랜치 명은 구분하기 쉽게 각 팀원의 이름으로 설정하면 된다.
복사하는 소스는 main을 기준으로 한다. 생성 후 push branch 를 하여 remote tracking 에도 브랜치가 남겨지도록 한다.
모든 브랜치를 생성 후, 다른 팀원들이 각자의 환경에서 리포지터리를 clone 하면 아래와 같이 local 에 main 만 보여지고 자신이 사용할 브랜치는 없을 것이다.
이때는 switch to 에서 브랜치를 생성할 때 select source 로 기반 소스를 remote tracking 의 자기 이름 브랜치로 설정하여 만들면 된다.
보통은 local 에 자신의 브랜치만 두고 쓰고, 필요에 따라 main 브랜치를 추가하여 사용한다.
main 브랜치를 가져와야 하는 경우에는 fetch from origin 의 configure 에서 add 해주면 되는데, source 에 main 을 입력하고 엔터하면 자동 완성 된다.(이외의 브랜치는 ctrl+space 로 찾기) 작성 후 save and fetch 해주면 remote tracking 에 main이 잡히게 된다. 이를 check out 하고 check out new local branch 로 로컬에도 불러와지게 해주면 된다.
프로젝트 진행 할 때 각자의 브랜치에서 작업하고 나중에 main 브랜치로 병합하면 되는데, 이때는 되도록 바로 병합하지 말고 병합용 브랜치를 따로 하나 생성하여 테스트 한 후 합치도록 한다.
'국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2.20 국비학원 96일차 (애자일 프로세스 개념, 노션/slack 설치) (0) | 2023.02.21 |
---|---|
02.17 국비학원 95일차 (자습) (0) | 2023.02.20 |
02.15 국비학원 93일차 (Github: organizations 사용, readme파일 마크다운 문법) (0) | 2023.02.16 |
02.14 국비학원 92일차 (평가10) (0) | 2023.02.14 |
02.13 국비학원 91일차 (복습 이어서) (0) | 2023.02.14 |